알아두면 이득되는 이야기

2025년 경기도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수행대학 선정계획 공고

지식나눔 블로거 2025. 4. 10. 15:07
반응형

경기도가 지역과 대학 간의 연계 및 협력을 통해 지역 혁신과 동반 성장의 선순환 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경기도 지역혁신중심 대학지원체계(RISE)' 사업의 2025년도 수행대학 선정 계획을 발표하였습니다.

 

* RISE(Regional Innovation System & Education)는 교육부가 대학 재정지원 권한을 지자체에 이관해 지역 특성과 발전 전략에 맞춰 대학 혁신을 지원하는 사업

 

"대학재정지원의 패러다임 대전환에 따라
지역발전과 연계한 미래동력 창출 인재 양성, 글로벌 기술혁신 선도 산학연 협력 체계 구축, 지역-산업 수요맞춤 평생직업교육 거점 조성, 지역 상생발전 선순환 체계 구축으로 지역과 대학의 동반성장 실현"

경기도청 홈페이지 공지내용

 

대학 재정 지원 패러다임 전환에 발맞춰,

  • 경기도 내 대학을 대상으로
  • 미래 동력 창출, 글로벌 기술 혁신 선도, 지역 산업 맞춤형 평생 직업 교육 거점 조성 등을 목표로
  • 총 658억 원 규모의 사업비를 지원할 예정

 

사업 유형은 미래성장산업 선도형, 지역 클러스터 육성형, 평생직업교육 거점형으로 구분되며, 각 유형별 선정 규모와 지원 금액, 주요 추진 내용 및 신청 자격 요건 등이 상세히 안내되어 있습니다.

Google notebooklm을 활용한 공고내용 마인드맵

 

1) 유형1 미래성장산업 선도형

  • 일반대 7교 이내 (교당 연간 40억원 이내), 전문대 3교 이내 (교당 연간 20억원 이내)
    • 주요 수행내용 : 산학연 협력 기반 미래 성장 산업 분야 글로벌 선도 인재 양성, 공동 R&D 및 사업화 지원, 국내외 협력 네트워크 구축, 기술 기반 창업 활성화

2) 유형2 지역클러스터 육성형

  • 일반대 7교 이내 (교당 연간 20억원 이내), 전문대 9교 이내 (교당 연간 14억원 이내)
    • 주요 수행내용 : 지역 전략 산업 클러스터 맞춤형 전문 인재 양성, 지역 중소기업 기술 개발 및 사업화 지원, 지역 기반 산업 대상 실무형 창업 교육 및 육성

3) 유형3 평생직업교육 거점형

  • 컨소시엄 4개 이내 (3개 대학・기관 구성 시 최대 13억원, 4개 대학・기관 이상 구성 시 최대 15억원)
    • 주요 수행내용 : 지역 수요 기반 협업형 평생 교육 체제 구축, 고교-대학-산업 간 연계 통한 지역 산업 특화 인력 양성, 재직자 재교육 통한 직무 능력 향상

최근 2년간 "경기도+RISE"관련 뉴스정보 분석결과, (Bigkinds 활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