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강모 박사 3

글로벌강소기업 육성위원위촉

감사하게도 올해부터 전북지역 글로벌 강소기업 육성위원으로 초대해주셔서 활동하게 되었습니다. 저 하나의 미약한 역량으로 큰변화가 생기진 않겠지만, 창의적 사업기회탐색과 전략적 기술사업화 부분에서 글로벌진출가능성이 높은 기업들에게 조언해줄 수 있도록 내공소비를 해보려 합니다.. 글로벌강소기업은 세계 수출시장을 선도하고 지역경제를 주도할 중소수출기업 육성하기 위해 매출액 100~1000억원 사이, 수출액 500만불이상의 기업을 대상으로 지자체에서 입체적 지원을 받을수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해외마케팅지원, 기업성장컨설팅, 보증 및 금융지원 연계, 기술개발지원 등을 제공받을 수 있기에 든든한 도움닫기 발판이 될 수 있습니다. 글로벌시장은 넓지만 국내 산업환경이나 소비문화가 다를 수 있기에 좀더 살펴봐야하는 부문이..

제안발표를 준비 하신다면...

15여년동안 정부과제와 컨설팅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다양한 제안과 보고활동을 해왔었는데 최근 보고나 제안시 고려할 점에 대해 물어보시는 분들이 계셔서 제 경험과 준비팁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보통 정부지원사업의 과제신청후 평가발표를 준비하시는 경우에는 해당 과제의 평가표을 살펴보시고 발표자료를 준비하시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물론 평가에서는 과업신청을 한 대상기업의 역량과 과업수행의 프로세스, 과업수행에 따른 기대 효과를 관심있게 보게됩니다. 따라서 이에 대한 근거와 추정자료들을 제시한 것이 당연히 유리하겠죠..^^ 컨설팅프로젝트에서는 우선 우리조직이 클라이언트가 당면한 문제나 이슈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our understanding)를 전반부에 제시해서 공감대와 이해수준을 어필해보는 것이 우선 호감도..

사업계획서와 연구개발계획서 작성시 고려할 점

새벽부터 서둘러 준비하고 공항에 오니 나른하군요..ㅠㅠ 오늘은 울산지역 중소기업들에게 연구개발계획서 작성요령을 알려드리려 합니다. 요즘 기간이 계획서 준비 시즌이다보니 특강요청들이 좀 있네요. 과제기획과 추진계획은 기본적으로 보유자원과 운영역량을 기초로 리스크를 고려한 추진일정수립이 근간입니다. 2021년부터 과제지원을 위한 사업계획서라는 용어가 비즈니스기획과 혼동의 여지가 많아 연구개발계획서로 변경되었답니다. 누구의 불편과 필요(needs)를 탐색하고 발견한 후 어떤 개념을 제공하면 필요성을 충족할 수 있을지에 대한 욕구(want)분석과 대안디자인이 도출된다면 이후 이를 시장의 수요공급법칙에 따라 상품제공을 하면 구매요구(demand)가 자극되어 소비로 실현될수 있을지를 기획하여야 한다. 사업개발을 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