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아두면 이득되는 이야기

학사, 석사 그리고 박사

지식나눔 블로거 2022. 12. 21. 00:03
반응형

대학원에서 초보학자들을 육성하고 지도하는 일을 하다보니 종종 학사와 석사, 박사는 과연 어떤 차이가 있을까를 설명해야할 필요가 종종 생긴다.

그래서 나름 이 차이를 나무위키의 용어정의 자료를 참조하여 개인적 소견을 정리해 보려 한다.


ㅁ 학사(學士 / Bachelor's degree)

- 대학교에서 학부과정을 마친 사람에게 수여하는 학위로, 이수기간의 완결과 기본 학습수준 확보 요건의 충족이 졸업 요건

- "기간의 완결"이 졸업 조건


ㅁ 석사(클석, 선비사, 碩士 / Master)

- 대학원에서 석사과정을 마친 사람에게 수여하는 학위로, 학술적인 석사의 의미는 학부생을 가르칠 수 있는 최소한의 자격이며, 이론상 석사를 딸 수 있는 최저 연령은 16세이다.

- 연구주제의 검증과 연구방법의 습득, 지도교수와의 커뮤니케이션과 인성의 충족이 졸업 요건

- 전공의 심화수준, 연구방법의 합리성, 논제에 대한 토론 태도, 학자로서 갖춰야할 인성, 대화스킬이 필요

- "절차의 완결"이 졸업조건


ㅁ 박사(넓을박, 선비사, 博士 / doctor)

- 대학원에서 박사과정을 마친 사람에게 수여하는 학위로, 스스로 알려지지 않았던 문제를 발굴하거나, 여태껏 해결되지 못했던 문제의 정답이나 해결책을 제시할 수 있을 만큼의 학식을 갖추었다고 제도적으로 인정받은 사람들에게 수여하는 학위이다.

- 오늘날 많은 대학에서는 박사 학위를 "한 명의 학자로서 홀로설 수 있는 독립적 연구자"에게만 수여하려는 경향을 보인다.

- 석사 과정 학생들과는 달리, 박사 과정의 경우 교수가 그렇게 세세하게 관리해주려 하지 않으며, 보통은 키워드 몇 개 던져주고는 알아서 성과물을 만들어 오라는 식으로 반응하는 경우가 많음

- 연구주제의 증명방법에 대한 이론설정과 일반화 가능성, 연구주제의 사회적 영향력, 학풍과 학파에 대한 공존성과 차별성 검증(학술활동), 학자로서의 철학, 인성과 선도학자로서 후학자 배려태도 성숙이 필요

- 학계, 산업계 간에 합의적 연구방안(심사 5인 구조) 도출과 검증이 졸업요건(학술논문+학위논문)

- "인성과 철학의 완결"이 졸업조건



(그림출처)https://m.blog.naver.com/charm_academy/222852564706


글. 최강모. 2022.12.20